-
[2022.08.16](JavaScript) 객체 리터럴TIL 2022. 8. 16. 22:24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등)은 모두 객체이다.
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내지만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원시 값 또는 다른 객체)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또한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이 가능한 값이다.
이렇듯 자바스크립트를 잘 알기 위해서는 객체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객체란?
객체는 0개 의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다.
출처 : https://velog.io/@seeh_h/%EA%B0%9D%EC%B2%B4-%EB%A6%AC%ED%84%B0%EB%9F%B4 객체 생성 방법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로서
'클래스 기반 객체지향 언어' 와는 달리 다양한 객체 생성 방법을 지원한다.
- 객체 리터럴
- Object 생성자 함수
- 생성자 함수
- Object.create 메서드
- 클래스(ES6)
객체 리터럴
객체 리터럴은 객체 생성 방식 중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다.
콘텐츠를 그대로 대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let myObject = { member1Name: member1Value, member2Name: member2Value, member3Name: member3Value };
위의 형식과 같이 key : value 형식의 data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다.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점
먼저 객체 리터럴 방식으로 Person이란 객체를 만들어보자.
var person = { name: "Lee", age: 20, hello: function () { console.log("hello :" + this.name); }, }; console.log(person); >>> { name: 'Lee', age: 20, hello: [Function: hello] }
위 객체에서 hello는 함수이다. 객체는 프로퍼티로 일반 변수뿐만 아니라 함수 또한 가질 수 있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method)라 부른다.
객체 내부에서 객체의 프로퍼티(상태)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을 메서드라 부른다.
즉, 메서드는 객체에 묶여 있는 함수를 의미한다.
전역 객체란?
- 전역 객체는 코드가 실행되기(런타임) 이전 단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생성되는 특수한 객체다.
- 클라이언트 사이드 환경(브라우저)에서는 window, 서버 사이드 환경(Node.js)에서는 global 객체를 의미한다.
- 전역 객체는 표준 빌트인 객체(Object, String, Number, Function, Array...) 들과 환경에 따른 호스트 객체,
그리고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전역 함수를 프로퍼티로 갖늗다.
오늘은 객체 리터럴에 대해서 알아봤다.
개발하면서 사용했던 것들이지만 개념들을 잘 몰랐던 거 같았다.
차근차근 기초 공부를 계속해야겠다.
참고자료:
GitHub - khakaa/prepare_frontend_interview: 📚 프론트엔드 기술 면접을 위한 핸드북 만들기
📚 프론트엔드 기술 면접을 위한 핸드북 만들기. Contribute to khakaa/prepare_frontend_interview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 객체 리터럴
객체 생성 방법중 하나인 객체리터럴에 대해 알아보자!
velog.io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25] 면접 과제 하며 배운것 정리 (0) 2022.08.25 [2022.08.17] (JavaScript) 구조분해 할당 (0) 2022.08.17 [2022.08.10] (JavaScript) 실행 컨텍스트란? (0) 2022.08.10 [2022.08.09]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0) 2022.08.09 [2022.08.06] HTTP vs WebSocket (0) 2022.08.06